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혼자 노는 아이😮

by YUNARA 2021. 6. 18.
반응형

오늘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혼자 노는 아이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아이가 원에서 하원 후 뭐하고 놀았어 라는 질문에 혼자 놀았다는 말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저도 그런 경우가 많은데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혼자 놀았다는 말을 들으면 걱정이 되면서 마음이 좋지 않더라고요. 자 그럼 혼자 노는 아이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지능, 사회성 발달, 가족 유대관계 형성에 좋은 보드게임 확인하기>

🔻🔻🔻

 

 

5세 보드게임 추천(feat. 1분만에 즐거운 저녁, 주말, 보내기!) | 픽도와드림

아이와 같이 즐길 수 있는 보드게임을 찾고 계신가요? 추천해드리는 보드게임을 확인하세요. 수많은 보드게임을 해보았지만 추천해드리는 보드게임이 아이와 같이 재밌게 즐길 수 있도록 쉽고

24four7.com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혼자 노는 아이

 

첫 번째, 사회성을 배울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상호작용을 타고난 아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부모나 교사에게 배워야 합니다. 어릴 때부터 또래아이들과 적절하게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형성하고 갈등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부모와 교사는 도움을 줘야 합니다. 사회적 관계 형성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몰라 혼자노는 경우도 있는 것입니다. 할머니나 할아버지와 같이 사는 경우 어른들과의 상호작용에는 능숙하지만 또래와의 상호작용 경험이 적어 도움이 더욱 절실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또래아이와 대화를 주고받고 상대방에게 적절하게 반응하는 방법과 갈등상황에 대처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적합한 교구와 역할놀이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맺는 방법을 알려줄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 기질적으로 타인에게 무관심한 아이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타고난 기질이 혼자있는 것을 선호하고 편안함을 느끼는 아이 일수 있습니다. 이런 기질의 아이라면 이것을 부정하고 부인하는 것 보다 적절하게 수용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기질과 잘 맞는 소수의 아이들과 관계를 잘 유지 할 수 있도록 부모가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기질이 혼자있는 것을 좋아하더라도 최소한의 또래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세 번째, 부정적인 언어, 행동,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있는지 살펴야 합니다.

만약 아이의 행동이 자기중심적, 부적절한 것으로 거부 당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보이면 또래아이들이 티가 나게 피하기도 하며 놀이에서 배제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교사나 부모에 의해서 자주 지적을 당하는 경우에 다른 아이들에게 선입견이 생길 수 있으며 그러한 문제가 더욱 심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경우로 혼자 놀게 된다면 전문가와 상의해서 놀이치료 등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네 번째, 발달 수준에 차이가 있으면 놀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래 친구에 비해 발달 수준이 비슷해야 역할 놀이 등 상호작용을 하면서 놀 수 있습니다. 만약 또래에 비해 발달수준이 낮다면 또래와 놀이에 참여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언어, 인지, 신체능력의 발달이 비슷해야 여러명이 같이 어울릴 수 있는 연합놀이를 실시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발달지연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에게 발달검사를 받고 적절한 도움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혼자 노는 아이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혼자지내는 이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부모가 도와주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한 육아하세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