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정보😄

새벽에 깨는 아기! 야경증, 야제증 바로 알기👀

by YUNARA 2021. 7. 3.
반응형

오늘은 새벽에 깨는 아기, 야경증, 야제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첫째가 새벽에 많이 일어나서 아무 이유없이 울고 깨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이렇게 새벽에 깨는 아기와 관련하여 야경증, 야제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혹시 새벽에 자주깨는 아이에 대해서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자 그럼 새벽에 깨는 야제증, 야경증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숙면하는 아기

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밤에 잠을 잘 잘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어린시기에는 수유때문에 그렇고요. 통잠을 자야하는 시기인데도 새벽에 자주 깨어 우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덩달아 같이 깨게 되어서 그로인한 스트레스와 일상생활의 피로로 삶의 질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칩니다. 아이가 새벽에 자주깨는 것이 지속된다면 야제증, 야경증을 의심해 볼수 있습니다. 낮에는 잘 놀고 멀쩡한데 밤에 불안해 하고 수면중에 자주 깨고 보채는 것이 2주이상 지속된다면 야제증, 야경증일 수 있습니다.


야제증 증상

야제증과 야경증은 연령대와 증상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아기 야제증은 통잠을 이루지 못하고 깨어서 보채거나 우는 증상입니다. 생후 3개월까지는 작은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놀라거나 깨어서 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한 두번이 아니라 2주이상 일정하게 새벽에 깨서 우는 경우는 야제증을 의심해 볼 수 있는데요. 이는 생후 만 2세까지 나타난다고 합니다. 원인은 감기에 자주 걸려서 호흡기에 문제로 인해서, 그리고 소화기가 약한 경우, 또는 예민한 성격의 기질의 아이인 경우 등입니다. 


야경증 증상

유아 야경증은 잘 자다가 갑자기 깨서 소리를 지르거나 우는 경우입니다. 심하면 일어나서 집안을 걸어다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연령대는 만 4~5세에 많이 나타나고 6세이전까지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민한 가족력이 있는 경우, 취짐전에 과식을 하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되며 어렸을 때, 야제증이 있는 아이의 경우 소아 야경증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아기 숙면에 도움주는 방법

1. 낮잠은 1시간 안팎으로 자게 하고 밤에 자는 시간과 깨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하는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소화기가 약할 수 있으므로 잠들기 전 음식섭취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3. 밤 늦게 격한 신체활동을 하거나 자기전 미디어를 장시간 시청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4. 잠이 들기전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잠자리 루틴이나 자장가를 들려주거나 어두운 것이 무서울 경우 수면등을 활용합니다. 

 

야제증, 야경증 체크리스트

  • 자다가 깨서 칭얼거리거나 보채다가 다시잠을 잔다. 
  • 소리를 빽 지르거나 자지러지게 운다. 
  • 헛 것을 본 것 처럼 놀라고 깜짝 놀란다. 
  • 자다가 일어나서 아무렇지 않게 멍하게 있다가 다시 잠을 잔다. 
  • 자다가 깨어서 낮에 노는 것 처럼 놀다가 다시 잠을 잔다. 

 


지금까지 새벽에 깨는아이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야경증, 야제증의 경우 아이와 부모의 숙면에 많은 지장을 주며 부모는 피로도가 높아 직장 및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경우 여러가지 이유로 깰 수 있지만 그것이 지속적이라면 숙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 입니다. 숙면은 아이의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손상된 세포의 재생, 뇌 발달에 도움을 주는 등 아주 중요합니다. 특히, 만 4세까지의 숙면은 뇌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기 때문에 골든타임입니다. 잠의 질이 삶의 질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