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의원은 얼마의 월급과 연봉을 받을까요?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입니다.
고양시에는 19세 시의원이 당선되어 뉴스에 나왔는데요. 시의원의 연봉과 월급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궁금하셨던 분들의 궁금증이 해결 될 것입니다. 같이 알아보시죠.
시의원 연봉은 얼마인가?
- 시의원의 연봉과 월급은 지자체마다 다릅니다.
- 모든 시의원의 의정활동비는 1,200,000원, 보조활동비는 300,000원으로 정해져있습니다.
- 하지만 월정수당은 지역마다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 시의원 연봉이 가장 높은 곳은 서울시로 6300만원이며 세종이 4200만원으로 가장 낮은 시의원 연봉입니다.
지역별 시의원 연봉
- 서울시 : 63,780,000원
- 제주시 : 57,015,000원
- 세종시 : 42,000,000원
- 부산시 : 57,279,960원
- 인천시 : 59,510,004원
- 대구시 : 57,595,800원
- 대전시 : 57,240,000원
- 광주시 : 55,755,720원
- 울산시 : 58,140,000원
- 경기도 : 63,210,000원
- 충남도: 56,064,000원
- 충북도 : 54,000,000원
- 강원도 : 51,840,000원
- 전북도 : 53,111,160원
- 전남도 : 50,799,960원
- 경북도 : 52,719,996원
- 경남도 : 53,239,056원
시의원 복지는?
- 시의원들의 특혜성 출장비가 많은 국민들을 화나게 한 사건이 있습니다.
- 경북의 시의원들이 해외 출장 명목으로 1억이상의 출장비를 써서 더욱 열받는 사건입니다.
- 대부분의 국민들이 선거철에만 시의원, 구의원이 있구나 생각하고 누군지도 모르는 사람의 악수나 유세를 듣죠 ㅜㅜ
- 물론 열심히 일하고 국민을 위한 시의원들도 많죠^^
- 국내출장비 : 100만원 ~ 120만원
- 국외출장비 : 150만원 ~ 250만원(항공, 숙박지원)
- 특수활동비 : 600만원
- 겸직가능!!
시의원이란?
- 주민의 직접선거로 선출되는 선거직 지방공무원입니다.
- 임기는 4년으로 지방직 공무원 대우를 받습니다.
- 시의회 구성원으로 임기 4년동안 일정한 권리와 의무를 가집니다.
시의원 하는일
- 시의원은 주민의 뜻을 파악하여 정책에 반영되도록 노력합니다.
- 타의 모범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당선되고 직권남용과 갑질 등의 좋지 않은 행동들이 많아 아쉽습니다.
-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며 직권을 남용하지 않고 권익 도모의 금지 의무를 가집니다.
- 의원들이 공동으로 행사할 수 있는 일은 회의를 소집하는 일
- 의회에서 심의, 의결할 의안을 내놓는 일
- 관계 공무원들을 출석시키는 일 등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 새로운 조례를 만드는 제정, 기존 조례를 개정하는 일을 합니다.
- 시민들의 세금으로 예산되는 일들에 대해 심의 및 확정하는 일을 수행합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시의원의 연봉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부분의 시도에서 생각보다 많은 연봉을 받으며 복지도 일반 국민들 이상의 혜택을 받습니다. 그리고 선거직 지방공무원 대우를 받으면서 겸직도 필요하면 가능합니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시의원들이 많아져서 더욱 행복하고 안전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