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3년 6월부터 태어나면 0살이고 그 이후 생일을 기점으로 1살씩 나이가 먹는 만나이 계산으로 사법과 행정 등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될 예정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사람은 3가지 나이가 혼용되고 있어 헷갈리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만나이 계산방법하는 꿀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만나이 계산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통용되는 만나이보다는 세는 나이로 나이를 계산하였습니다.
- 세는 나이
- 출생일로부터 1살이 되고 다음해 1월 1일이 되면 1살씩 증가하는 나이를 말합니다.
- 12월 31일에 태어나면 1살이고 다음날 2살이 되는 식의 세는 나이죠. ^^
출처 - 조선일보
- 23년 6월부터는 만나이로 통일
- 만나이는 출생직후 0살에서 시작하여 생년월일을 기점으로 1년이 지날 때마다 1살씩 증가하는 방법입니다.
- 예를 들어 12월 31일에 태어났다면 다음해 12월 31일에 1살이 되는 것입니다.
현행법에서 세금, 의료, 복지의 기준으로 만나이를 적용하고 있고, 청소년보호법이나 병역법 등에서는 연 나이를 기준으로 법률을 적용하는 등 많은 헷갈림이 있었습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갑자기 만나이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죠. 사실 우리나라에서 여러가지의 나이가 있으니 불편한 것이 사실이였습니다.
만나이 쉽게 계산하는 꿀팁
출처 - 동아일보
- 만나이는 흔히 아는 세는 나이에서 자신의 생일이 지났으면 -1살,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2살 하면 됩니다.
- 예를 들어 1984년생은 2022년 세는 나이로 39살이지만 만나이로는 생일이 지났다면 38세, 지나지 않았으면 37세 입니다.
- 그래도 헷갈리신다면 간단하게 만나이 계산기를 통해 쉽게 만나이를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